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아열대로 변해가는 우리 바다! 독(毒) 있는 녀석들! 한국의 바다는 다양한 생물체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중에는 독성을 가진 녀석들도 있습니다. 또,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 아열대성 독(毒) 있는 녀석들의 유입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먹이를 사냥하고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넓은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 파란고리문어, 노무라입깃해파리, 말미잘, 점쏠배감펭, 복어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험한 독을 가지고 있는 바다 생물 7종 넓은띠큰바다뱀 : 한국의 대표 바다뱀으로 최근 한국 연안에서 19 개체가 포획되었습니다. 몸 전체는 푸른빛이 나는 줄무늬가 있는데, 유사종과 달리 등 쪽이 넓고 배 쪽은 얇은 V자 형태의 줄무늬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만이나 일본의 류큐 지역의 개체군에서 해류를 따라 한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입니.. 더보기
염치없는 빈대, 침대 버리지 않고 퇴치하는 법 최근 전국에서 빈대가 확산 중이라는 보도가 연이어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1970년대에 공중위생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강력한 살충제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면서 거의 박멸됐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다시 확산하고 있어 사람들 사이에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빈대의 발생하는 원인, 예방과 퇴치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사라졌던 빈대(Bedbugs)가 왜? 다시 나타나 확산되고 있을까요? 다른 파트에서 "침대 벌레 4 대장"이라는 주제로 다뤘습니다만, 이번 파트에서는 주로 에 따른 노하우(Know-how)'를 다수 인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발생 원인과 유입 경로 : 공식적인 유입 경로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빈대 확산 원인으로 '내국인 해외여행'과 '외국인 유입'을 꼽습니다. 최근 발생이 급증한.. 더보기
"캠핑이나 야(夜) 영"을 좋아한다면 이 글을 읽어보세요 야외활동이나 캠핑은 자연과 가까워지는 좋은 기회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 중에는 "먹파리, 말파리, 샌드플라이, 파리매, 청딱지개미반날개(화상벌레)"와 같은 벌레들로부터 주의해야 합니다. 이들 벌레들은 방어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인간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질병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들 벌레들에 대한 정보와 그들로부터 어떻게 자신을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캠핑 시 주의해야 할 위험 벌레 5종 지금 소개하는 벌레들 외에도 모기, 진드기, 빈대, 벼룩, 뱀, 바다뱀, 문어, 해파리, 지네, 거미, 말벌, 독나방 등 다양한 종이 있으나 블로그에 소개되지 않은 벌레 위주로 소개합니다. [먹파리]는 먹파리과의 작은 파리류로, 크기는 대략 1~5mm 사이입니다. 주로 습한 지.. 더보기
혐오와 비(非)위생의 상징 "집 파리들" 우리의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생명체, 바로 '집 파리’입니다. 이들은 우리의 생활 공간에서 쉽게 발견되며, 때로는 우리에게 불편함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들이 단순히 불편한 존재가 아니라, 혐오와 비(非)위생의 상징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집 주변에서 주로 발견되는 파리 6종류 주로 사람이 사는 거주지에서 발견되는 파리의 종류는 많습니다. 이들은 음식물 쓰레기, 동물의 사체 등에 알을 낳아 번식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병원균을 옮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집파리 (Musca domestica) △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5~8mm △사람을 물지 않지만, 음식물 등에 알을 낳아 질병과 병균을 퍼뜨림 △습기가 있는 유기물질을 먹이와 번식하는 장소로 삼습니.. 더보기
집 모기와 모기를 닮아 억울한 녀석들 모기는 우리의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입니다. 그러나 모기 중에는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종류들이 있습니다. 반면에, 모기와 비슷해 보이지만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곤충들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집 모기와 모기를 닮아 억울한 녀석들"이라는 주제로 이 두 가지 유형의 곤충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한국 대표 흡혈 모기 6종 빨간집모기 △몸길이: 약 3~7mm 정도 △생존기간: 60~90일 정도 △습성: 주로 하천 주변의 고인 물, 웅덩이 등 오염된 물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해 질 무렵 담장 부근, 수풀 위에서 수컷이 군무를 이루어 암컷을 유혹하며 교미 활동을 합니다. 교미를 마친 암컷은 산란을 위해 동물과 사람에 접촉해 흡혈 △물린 경험이 있는 사람은 면역이 되어 있어 덜 붓지만 어린아이는 많이.. 더보기
집 화분이나 식물에서 발견되는 벌레 녀석들 11종 집 식물이나 화분은 우리의 생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동시에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식물들은 때때로 다양한 벌레들의 서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집 식물이나 화분에서 발견될 수 있는 벌레들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그 예방 및 퇴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집 화분에서 발견되는 정체 모를 녀석들? 작은뿌리파리 △성충 크기는 1.1~2.4mm 정도 △식물 주위에 날아다니는 까만 날파리로 주로 습기가 많은 성토나 암면에 알을 낳습니다. 유충은 햇빛을 피해 땅속으로 파고들어 습한 곳으로 이동하는 습관이 있으며, 잡초가 많거나 비료와 같이 유기질이 많은 토양에서 서식합니다. 톡토기 △성충 크기는 0.5~3mm 정도. 뛰어오를 수 있는 도약기가 있어 톡톡 뛰어다님. 날.. 더보기
우리 집 해충 처리반! 거미 10종 집에서 자주 보게 되는 거미, 우리는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이들은 우리의 생활 공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생물이지만,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흥미로운 녀석들입니다. 우리 집 해충을 처리해 주는 거미 10종을 소개할까 합니다. '네이버 지식인'에서도 질문이 많은 녀석들입니다. 위생곤충 포식자! 유익한 집 거미 8종 1. 집유령거미(실거미) △몸길이는 약 5~10mm이며, 다리 길이는 최대 20mm. 암컷은 수컷보다 크며, 암컷의 크기는 7~8mm, 수컷의 크기는 6mm. 성체는 노란빛을 가진 짙은 갈색 △거미줄을 치는 정주성 거미. 습하고 어둡고 구석진 곳을 선호. 거미줄의 진동을 통해서 먹이 확인하고 재빨리 다가가 독을 주입. 주로 모기, 나방, 날벌레 같은 해충 사냥이 특징입니.. 더보기
집에서 출몰하는 액취를 풍기는 벌레 6종 요즘 밤 기온이 낮아지면서 따뜻한 곳으로 이동하려는 습성과 불빛에 이끌리는 습성이 더해져서 집 안으로 침입하는 벌레나 곤충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주로 여름 시기를 잘 이겨낸 어린 유충들이 성충이 되어서 활발하게 활동을 하는 번식을 위한 계절입니다. 그래서 이 중에서 피부에 화상을 입히거나 액취를 풍기는 불청객 6종 "노린재, 노래기, 먼지벌레(화상 벌레), 집게벌레, 무당벌레, 반딧불이"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액취를 풍기는 벌레 6종 "노린재, 노래기, 먼지벌레, 집게벌레, 무당벌레, 반딧불이" 이들 벌레들은 각각 다른 특징과 생태를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액취를 풍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의 특징과 생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른 자료를 참조해도 좋습니다. 주로 집안의 불빛에 유혹되어.. 더보기
울음소리로 계절을 알리는 전령들 자연의 소리 중에서도 가장 흥미로운 것은 아마도 벌레들의 울음소리일 것입니다. 그들의 울음소리는 우리에게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전령이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계절에 따라 변하는 벌레들의 종류와 그들의 독특한 울음소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리를 내는 곤충들의 습성과 성장과정 한해살이 곤충들은 봄이 되면 따뜻한 기운 속에 파릇파릇 식물이 돋아나면 이를 먹이로 하는 곤충들이 하나둘 깨어나기 시작합니다. 물론 성충으로 겨울을 지낸 강인한 녀석들도 있지만, 안전한 땅속이나 식물 속에서 대부분 알로 월동하다가 애벌레로 태어납니다. 번데기 과정 없이 불완전변태를 하여 미완성의 어미 형상을 갖추게 됩니다. 꽃이나 씨앗, 새싹을 뜯어먹거나 다른 작은 곤충을 직접 잡아먹기도 합니다. 여름에는 단단한 외골격인 몸은 .. 더보기
원치 않은 불청객 "집개미 5종" 가정에 침입하는 가장 흔한 5가지 유형의 개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개미 침입은 실망스러울 뿐만 아니라 건강상의 위험과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자주 나타나는 개미의 특정 유형과 독특한 행동 방식을 이해하고 이러한 원치 않는 불청객을 정면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주로 집에서 거주하는 가주성(家住性) 개미 5종 간혹 집에서 불개미가 나온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애집개미를 착각한 경우가 99%가 됩니다. 국내의 가주성(家住性) 개미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애집개미, 유령개미가 있으며, 검정꼬리치레개미, 황침개미 등이 있습니다. 목조 건물에서 주로 발견되는 흰개미가 있습니다. 그 외 다른 개미는 잘못 들어온 뒤 나갈 길이 없어서 일시적으로 사는 등 예외적인 경우가 아닌.. 더보기
한국 독사 4종과 무독성 뱀 4종 "독사, 구렁이, 무자치, 누룩뱀, 실뱀"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은 다양한 생물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산을 오르거나 야외 활동을 하며 자연을 만끽하다 보면 종종 뱀을 만나기도 합니다. 이때 뱀에게 물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 물렸을 때 어떠한 행동을 해야 할지 정도는 알아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독사류 4종과 무독성 뱀 4종 "독사류, 구렁이, 무자치, 누룩뱀, 실뱀"을 소개하고 물렸을 때 대처 요령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한국 서식하는 독을 가진 뱀 4종과 무독성 뱀 4종 한국 독사류 4종|살무사, 까치살무사, 쇠살무사, 유혈목이 '살무사'라는 표현은 조선시대부터 사용되었다고 하며, 그 정확한 어원은 알 수가 없지만, 한자어 죽일 살+뱀을 뜻하는 순우리말 무기/모기의 결합어인 살무기, 살무사 순으로 변천했다고 추정.. 더보기
재택부업 데이터 라벨링 경험 후기 데이터 라벨링이 뭘까요? 인공지능이 특정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알맞게 수집 및 가공을 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에 사람이 가공 도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목적에 맞게 입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법도 다양화, 고도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데이터 라벨링 공정의 이해 획득 및 수집된 원시데이터를 정제 도구를 활용 원천 데이터가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이다음이 데이터 라벨링 작업 단계가 됩니다. 원천 데이터에 레이블, 태그 또는 주석을 추가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학습하고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작업 유형 Image :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을 도구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태깅하는 작업입니다. 기법에는 대표적인 바운딩, 태깅, 감정 분석, 키포인.. 더보기

반응형